본문 바로가기

Research247

Sateliite Technology HOWTO Sateliite Technology HOWTO 2002. 12. 5.
위성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 위성방송에 사용되는 주파수는 1.5GHz ~ 22GHz까지의 SHF주파수대가 할당되었다. 이 주파수는 파장이 매우 짧아서(20cm ~ 수십mm) 마이크로웨이브라고도 부르며 빛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 마이크로웨이브는 위성의 주 커버리지 지역까지 가시거리를 따라 전송되며, 지구 전리층의 방해를 받지 않는다. 위성방송의 장점은 커버리지가 광범위하기 때문에 위성을 사용하여 TV, 전화, 컴퓨터 신호등을 위성이 서비스하는 에리어 안에 있다면 별다른 어려움 없이 어느 곳에서든지 수신할 수 있다. 위성에 사용되는 주파수는 위성전화로 사용되고 주로 위성장비의 IF주파수로 사용되는 L-밴드, S-밴드 그리고 C-밴드로, C-밴드는 주로 미국에서 사용되며 "지구촌 빔"(전파의 창)이란 별칭을 가지고 있으며, 유.. 2002. 12. 4.
LNB (Low Noise Block Down Converter) LNB는 위성용 수신기에서 위성주파수를 셋톱박스 주파수로 낮추어주는 주파수 변환 장치를 의미한다. 주로 위성 수신용 파라볼릭 안테나의 수신부, 즉 파라볼릭 판에서 반사되어 온 전자파가 한점에 모이는 곳에 달린 feed-horn에 부가적으로 붙는 장치이다. 보통 위성이 보내는 주파수인 C band (4~8GHz)와 ku band (12~18GHz)용 주파수를 받아서 셋톱박스가 처리할 수 있을 만한 수백 MHz에서 2Ghz 까지의 신호로 변환해준다. 그 특성에서 알 수 있듯이, LNB는 Mixer와 LNA의 조합으로 만들어진다. 위성에서 수신된 높은 주파수는 LNA (저잡음증폭기)를 통해 우선 잡음을 최소화하면서 미약한 신호레벨을 높이고, Mixer를 거쳐 주파수가 하향변환하게 된다. 그래서 일반적인 형태로.. 2002. 12. 4.
Polarization Polarization 즉, 흔히 약자로 pol.이라고 많이 부르는 이것은 전자파의 E필드 방향성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전자기파는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크기가 변화하는 sine파형으로 +와 -를 오가는 E field와 H field가 수직을 이루며 진행한다. 여기서 특정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E field의 방향이 어떻게 바뀌느냐를 정의한 것이 바로 pol이다. E,H field vector는 진행방향에 수직으로 존재하는데 (TEM wave), 전자기파가 진행하면서 E filed vector가 하나의 축 방향의 +,- 로만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고, 이것을 linear polarization이라고 한다. 전자기파가 진행하면서 E field vector가 진행방향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회전하.. 2002. 12. 4.
Azimuth angle (방위각, 수평각) 지면을 기준으로 수평하게 방사되는 각을 표현하는 안테나용어. Azimuth라는 용어를 처음 들으면, 잘 쓰이지 않는 영어단어라서 전문용어라고 인식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Azimuth는 그냥 우리말로 수평의, 방위의라는 용어이다. Azimuth angle은 안테나용어중 하나로서, 말그대로 수평각을 의미한다. 즉 지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이 아니라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방위각을 말한다, 보통 Omnidirectional (무지향성) 안테나란 이런 azimuth각으로 방향성없이 사방으로 둥그렇게 방사되는 안테나를 말한다, 지구상에서는 지면을 기준으로 할수 있지만, 위성등에 탑재되는 안테나는 기준면이 없으므로 안테나의 기준방사방향을 기준으로 양옆으로 방사되는 각도를 azimuth, 위아래로 방사되는 각도.. 2002. 12. 4.
위도와 경도 위도와 경도 위도와 경도는 세계 모든 나라가 공통으로 정한, 위치를 재는 기준입니다. 지구의 남과 북 어디쯤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이 위도이고, 동과 서의 어디쯤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이 경도입니다. 위도를 나타내는 기준점은 무엇일까요? 지구의 남쪽 끝에는 남극, 북쪽 끝에는 북극이 있는데. 그 북극과 남극의 중간 지점을 적도라고 합니다. 이 적도를 0으로, 북극과 남극을 각각 90도로 정했는데 이것이 바로 위도입니다. 따라서 서울의 위도가 북위 37˚ 34'도라고 하는 것은 적도에서 북쪽으로 37˚ 34' 만큼 위쪽에 있다는 뜻입니다. 경도를 나타내는 기준점은 무엇일까요? 위도를 나타낼 때, 적도를 기준점으로 삼는 것처럼 경도를 나타내는 기준점은 영국의 수도 런던 근처에 있는 그리니치 천문대입니다. 그.. 2002. 12. 4.